[Tech] TTL 기능 사용하기
TTL 기능을 사용하여 원하는 시간이 지난 후에 해당 row 혹은 document 를 collection 에서 삭제할 수 있다. Token 같은 시간이 지난 후에 expire 되어야 하는 것들을 저장할 경우에 유용한 기능이다. MongoDB 홈피에서 자세히 설명해 준다. http://docs.mongodb.org/manual/tutorial/expire-data/ 1. TTL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특정 필드에 인덱스를 만들어 준다. 이 때 options 의 expireAfterSeconds 값에 원하는 시간 (초) 을 넣어 준다. ex) createdAt => 날짜값이 들어가는 특정필드 db.log_events.createIndex( { "createdAt": 1 }, { expireAfterSeco..
최신 기술/mongodb
2015. 10. 14. 14:49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Vue
- d3.js
- NPM
- jquery
- python
- javascript
- JSON
- html
- reactjs
- vueJS
- angular.js
- java
- Express
- langchain
- React
- node.js
- 안드로이드
- Promise
- Android
- GIT
- node
- webpack
- Vue3
- Linux
- docker
- IOS
- html5
- k8s
- css
- SpringMVC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