토비님이 예전에 포스팅 하셨던 글인데 구글 리더에서 별표시가 되어 있어서 다시 보다가 요즘에 아파치로 붙히는 프로젝트가 있어서 더 유심히 보게 되었다. 내용을 보면 Tomcat 5.5 이상에서는 static 파일을 처리하기 위해 굳이 Apache 웹 서버를 앞단에 둘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. (Tomcat 5.5. 이상부터는 Httpd의 Native 모듈을 지원 가능하므로) 관련 내용은 아래를 참고한다. 톰캣 앞에 아파치 웹 서버(Httpd)를 두어야 할까 ?
Apache + Tomcat 구성 시 Get Encoding 처리 Apache 와 Tomcat 구성 시에 Get 으로 Ajax 요청을 하였는데 파라미터가 한글일 경우는 깨져서 들어가는 케이스가 발생했다. 톰캣만 구성하는 경우에는 server.xml 에서 HTTP connector에서 URIEncoding="UTF-8" 처리를 하면 되는데 이렇게 같이 구성해야 하는 경우에는 어떻게 처리할지 난감하였다. 그런데 Apache 설정의 workers.properties 를 보니 worker.ajp13.type=ajp13으로 되어 있었다. 그 즉시 왠지 톰캣과 연동되는 것은 AJP 포트로 되어 있는 것 같아서 server.xml 에서 AJP connector에서 URIEncoding="UTF-8" 처리를 하니 해결..
가끔 Tomcat 을 기동하다 보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. Permission Denied on Port 80 현재 구성이 Tomcat 하나 만으로 80 포트에 있는데 , 계정이 root가 아니다 찾아보니 root 만 1024 port 이하의 포트를 사용할 수 있고, 나머지 사용자는 사용할수가 없는 것이었다. 그래서 root 이외의 계정으로 톰캣을 띄우려고 하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나는 것이었다. 해결책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, 1) 인터넷 찾으면 나오는 거 2) 톰캣 띄우는 계정을 root 로 변경 (ㅡㅡㅋ 비추천) 3) tomcat HTTP port를 변경 (1024 이상으로) 4) apache + tomcat 으로 변경하고 apache 80 포트 사용 , tomcat 을 올리는 건 비 root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reactjs
- 안드로이드
- python
- Vue3
- k8s
- Express
- css
- Android
- Vue
- java
- GIT
- IOS
- Linux
- langchain
- JSON
- node
- node.js
- javascript
- html5
- SpringMVC
- Promise
- docker
- webpack
- NPM
- html
- React
- jquery
- d3.js
- angular.js
- vueJS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